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24)
한식 대첩을 보며 확언컨데, 나는 베를린 필하모니도 당장 협연할 수 있다. 뒷북으로 말이다. 흑백 요리사도 다 끝난 마당에, 10년도 훨씬 지나 한식대첩을 보았다.  백발에 고운 한복입고 단정하신 심영순 선생님. 꼿꼿하고 깐깐한 모습을 닮고 싶다. 아이고 청년처럼 젊었던 백종원씨. 요리며 스타일 그 모든 것이 내 취향이 아니지만, 참 젊으셨군최현석은, 키크고 잘 생기고, 능력있으며 누구에게나 사랑받지 싶은 매력이 넘친다. 복이 많은 사람이다. 김성주는 진행 능력이 뛰어나다. ㅎ 그도 참 젊었네. ㅎ 각도의 명인들이 나와서, 한식으로  매 순간 진검승부를 벌인다. 제주 만의 재료에 대한 자부심, 독특한 향토 요리를 소개하고 싶어했다. 예로부터 미향으로 유명했던 전라남도,전주, 고창 등을 품은 전라북도,의외로 강적이었던 충청..
당근과 채찍. 당근을 보며 채찍을 맞는다.  쓸데없이 물건 살 궁리하지 말아라(특히 옷)꼭 필요한 물건도  중고로 살 궁리를 해봐라,  가처분 시간을 어떻게 쓸 지 연습하라, 보이지 않으나 귀한 것들을 만들 궁리해라.  그것이 헌법이다. ㅎㅎ 오래된 것들의 법이다. 헌법.
책을 버리며 이사를 앞두고 책을 솎아낸다.  30년 넘게 그림자처럼 끌고 다니던 책들을 다 버렸다. 시집. 세계 문학 전집. 각종 개론서들, 수필집. 각종 취미서들, 전공 서적들, 싸그리 다버렸다. 사놓고 읽지 못한 책들은, 영원히 못 읽을 거 같아 버리고, 그때는 좋았지만, 지금은 그저그런 책들도 버리고, 각종 사전들이며 교과서들 미련없이 다 버렸다.  그때로 다시 돌아가도 난 똑같이 돈 아껴서 책을 사서, 모으고, 모시고 살겠지만, 그게 바로 나이지만,  나의 미련함,나의 취향나의 청춘나의 바램나의 .......... 그토록 책 버리기가 어려웠던 까닭은 책이 곧 나라고 여겨서이다. 나를 버릴 수야 없으니까,버림받는 나를 견디기 힘드니까,  그래도 다 버렸다. 그래서 거의 천 권은 될 듯하다.   물론 버리지 못한..
스모크@피클스 이번에도 요리책을 봤다. 음, 일단 번역이,,,,,,,, 처음 먹어보지만, 느끼한데다 맛도 없어서 다시는 먹고 싶지 않은 음식같았다. 소금 지방 산 열이란 책의 임팩트를 이길 순 없다. 충격적이었다.스모그 앤 피클스도 꽤 괜찮은 제목이긴 하다.나중에 꼭 써먹어야지. 영화 미나리를 요리책으로 바꾼 것 같다. 밥,  clay에서 만난 요리 대가 제레미아 타워, 셰파니스의 공동창립자의 반응, 남쪽으로 가서 만난 목사님 이야기가 기억난다. 그리고 덮밥의 가능성, 밥과 레물라드양과 휘파람소와 클로버새와 블루그래스돼지와 도축장수산물과 검증피클과 결혼채소와 자선버번과 안주버터밀크과 노래방,특히 구입처 강건하고 까다로운 우리 가족은 대대로 찰진밥을 먹고 자랐고 나 또한 마찬가지다. 밥은 나를 튼튼하고 똑똑하게 키웠고 ..
2025-을씨년스럽다vsWTF 2025년은 60 갑자 중 42번째인 을사(乙巳)년이다. 쓸쓸하고 스산한 분위기나 매우 가난하단 뜻의 "을씨년 스럽다"는 표현은 역사속 을사년들로부터 유래했다.  지난 을사년엔 조선 4대 사화(士禍) 중 마지막인 1545년 을사 사화가 있다.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외척 윤씨들 간 내분이 대윤·소윤 갈등으로 번져 대윤 일파가 숙청된 사건이다.한데, 이순신 장군의 탄생년도이기도 하다. 덕분에 일본도 을씨년스러웠더랬다. ㅎㅎ일각에선 큰 흉년이 들어 전국적 구휼을 시행했던 1785년 을사년을 을씨년스럽다는 말의 시초로 본다.하나, 가장 유력하기론, 일본이 대한제국을 ‘보호’하겠다며 외교권을 강제 박탈, 사실상 식민지로 만든 을사늑약이 체결된 1905년이다. 그 시대 흉흉한 민심을 가리키며 ‘우리나라는 을사년마다 ..
새해에는 흰 새해 첫날 반포 성당에서 미사드린 후 떡을 받았다.흰 설기떡에 견과류를 흩뿌린 뜨끈한 떡을 받으며 아이들이 "핫팩"이다라고 외쳤다. 나도 두 손으로 고개 숙여 받았다. 오늘도 미사드린 후, 리치몬드에 들렀다. 늦은 시간이라 식사빵은 다 팔렸겠거니 하고 들어갔는데 역시다.대신 흰 식빵을 한봉 샀다. 거의 십년 만에 사본 하얀 식빵 알프스 소녀 하이디가 그토록 먹고 싶어한 흰 빵이다. ㅎㅎ남편을 위해 밤파이도 하나 샀다. 임윤찬의 “사랑의 꿈” 들으며 하얀 빵과 밤 파이를 들고 귀가한다. 나 역시 그 연주 들은 수백만 청준처럼 임윤찬에게 고백받았다 ㅎ 온 몸은 무겁고 두들겨 맞은 듯 아프다.머리 카락이 없어서, 시리게 춥다.눈은 침침하고, 머리는 둔하다.얼굴은 노추를 막을 길 없다. 기쁘다. 고마운 밤..
대도시의 사랑법, 박상영 소설.이현정 교수의 책 유튜브를 곧잘 듣는다.왜 그런 사람있잖아, 환하고 착한 데다 열심히 사는데 게다가 뛰어나니까지 해.그런데도 이건 뭐 질투도 나지 않고, 그냥 쟤는 저러려니.뭔가 지켜주고 싶고, 그의 지인이란 거 자체가 자랑스러운 그런 존재.  하얗고 복성스러운 얼굴에 책 이야기를 하는 서울대학교 문화 인류학과 교수라니. "데미안"을 처음으로 들었는데, 고등학교 시절 "데미안"을 찬양하는 친구들이 그렇게 많았다. "알은 세계다. 새는 알을 까고 나온다"  생각해보면 엄청 웃기는 말이기도 하다.알이 3개라고? 더 많던데?요즘은  자동 부화기가 있어. 그전에 죽어,  그때도 난 데미안은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고, 친구 엄마랑, 연애하는 호로자식 정도로 생각했으며되게 어른인척, 훈수 놓는 재수없는..
시티뷰 우신영, 곽아람 기자가 재미있다고 해서 빌려봤다. 올해의 첫 책이다. 제목이 재미있다. 호텔에 가면 "시티뷰" "오션뷰" "마운틴 뷰" 뭐 그런 방들을 선택한다. 보통 "시티뷰"면 시끄러운 거리나 다른 건물을 마주한 그저 그런 방이다. 우연히 묵게 된 한 호텔이 숙박료도 싼데다, 밤에 이상하리 만큼 잠자리가 뒤숭숭했는데 알고 보니, "묘지뷰"였다는 소리도 들은 적있다.  어쨌건 우신영의 "시티뷰" 였다. 혼불 문학상 수상작이다. 최명희 작가였던가, "혼불"을 쓴 작가를 기리는 상이라는데. 짜임도 뛰어나고, 캐릭터 개성적이며, 주제나 현실과의 거리감도 좋다. 문장도 빼어나다. 그런데, 전통적인 한국 소설의 얼개인가 싶었다. 그러니까, 심윤경이나, "로야"를 쓴 그 누구지? 그 작품들처럼, 복선을 깔아가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