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밤, 하루키, 만약 우리의 언어가 위스키라고 한다면,
총선이 끝났다. 꽃은 지니 녹양방초가 싱그럽다. 이제 일상으로 돌아오려 대청소를 했다. 서재를 정리하다, 내게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이 많아서 놀랐다 . 나는 그의 소설보다는 산문을 좋아한다. 특히 달리기, 외국어,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는 아주 인상깊게 봤다. 꽤 괜찮은 여행기도 많았다. 그렇지만, 내가 이렇게 많은 하루키 산문집을 가지고 있는 줄이야... 학생들 중간 기말 시험 후, 시내 서점에 들러 한권씩 샀구나, 한 시간 가량 그의 산문을 읽으며 마음과 머리을 달랬구나 싶다. 5, 7, 10, 12월 마다, 난 광화문 교보에 홀로 들러, 난, 서가에서 위스키 한잔 마시고 온 셈이다. 무려 20년 넘게, 일을 줄이면서, 아무것도 아닌 나와 마주보게 되었다. 밤마다,백포도주를 한잔씩 마신다. 성탄절 선..
소금 빵-모스크바의 신사
좋아하는 음식을 물은 적이 있다. 떡볶이, 초코렛, 치킨 등 은 예상했지만, 곱창, 돼지국밥은 의외였다. 대부분 그 당시 유행하는 음식을 꼽는다. 대만 카스테라, 공차 였다가 요즘은 탕후루, 마라탕이라 대답한다. 한데 누군가 "소금"이라고 답했다. 아버지가 요리사셔서 귀한 소금을 여러가지 맛볼 기회가 있었단다. 소금 알갱이를 꺼내 혀 끝에 굴리면, 단맛, 쓴 맛, 짠 맛, 비린 맛, 흙 맛이 느껴진다 했다. 내게 묻는다면 "빵"이다. "빵"을 가장 좋아한다기보다는 "빵"을 마음껏 먹고 싶다. 어릴 적 "빵"은 내가 만질수도 없는 것이었다. 책이나 영화에서만 존재했다. 상상하고 바라만 보면서 애를 태웠다. 빵은 축제였고, 서구, 문화, 세련, 부유의 상징이었다. 성인이 되고 나서도 여전히 내 꿈은 "아침은..
도둑맞은 가난,
한동훈이 "스타벅스는 서민들이 못오는 곳"이라 하고 백사 마을 가서, 연탄을 날랐다고 한다. "도둑맞은 가난"을 가져와, 매번 선거때마다, 서민을 위하는 척 연기하는 정치인들을 비꼬는 칼럼도 보였다. 1971년 나목으로 여성 동아에 등단하여,40년간 "서 있는 여자"로 줄기차게 중산층의 허위와 속물의식을 갈기갈기 찢어발기듯, 보여줬던 박완서 작가의 비교적 초기작이다. 가난도 도둑맞을 수 있을까, 구로동 쪽방촌, 노동 운동하던 대학생들과 여공의 이야기로도 얼마든 바꿀 수 있겠구나 생각하면 봤던 소설이다. 다시 보니. 가난을 대하는 여러 태도가 보인다 상훈과, 상훈 아버지. 여 주인공과 그 부모님, 어머니의 친구들,, 박완서 - 도둑 맞은 가난 상훈이가 오늘 또 좀 아니꼽게 굴었다. 찌개 냄비를 열자 두부점..